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무주택 실수요자 특별공급 청약 기회 확대

by 시니어더크 2021. 9. 9.
반응형

국토교통부는 지난 8월26일 개최되었던 청년
특별대책으로 현행 생애최초.신혼부부 특별
공급 제도를 일부 개편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제도 개선안은 1인 가구, 맞벌이 등으로
소득 기준을 초과하는 가구에게 특별공급 청
약기회를 부여하고, 무자녀 신혼부부의 당첨 기회 확대를 위해 신혼부부의 특별공급에 추
첨 방식을 도입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그간 정부는 특별공급을 확대하고, 소득기준 을 완화하는 등 신혼부부 및 주택소유 경험이
없는 가구 등 청년층의 내 집 마련을 지속적으
로 지원해 왔다.
그러나 특별공급 사각지대로 인해 청약기회
가 제한된 청년층을 중심으로 특별공급 제도
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던 것도 사실이었다.
'20년 수도권 청약결과 (민영+국민) 20.30대
는 전체의 53.9% 수준이다.



○ 신혼부부ㆍ생애최초 특별공급 사각지대


1. (1인 가구) 현행 생애최초 특별공급은 주택
소유 이력이 없고, 5년 이상 소득세를 납부했
으며, 소득이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의 최대 160% 이하인 자에게 공급한다.

그러나 중이거나, 유자녀 가구로 자격을
한정하고 있어 1인 가구는 주택구입 경험이
없음에도 생애최초 특별공급 신청이 불가능
했다.

최근 1인 가구 증가추세 등 인구 트렌드 변화,
내 집 마련 이후 혼인ㆍ출산을 희망하는 주거
수요 변화 등을 고려 할 때의 주요 청약 사각
지대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2. (소득기준 초과) 현행 신혼ㆍ생초 특공은
도시 근로자 월평균 소득 160% 이하의 소득
기준을 운영 중이나, 대기업 맞벌이 신혼 등은
소득기준을 초과하여 특별공급 신청이 곤란
했다.

3. (무자녀 신혼) 신혼 특별공급은 신청자 중
자녀수 순으로 공급하여, 자녀가 없는 신혼
부부는 당첨이 사실상 어려워, 무자녀 신혼
부부 수요가 생애최초 특별공급으로 쏠려
생애최초 경쟁률을 상승시키는 측면도 있다.
'20년 특별공급 경쟁률 (신혼 5:1), (생애
최초 13:1)
을 상승시키는 측면도 있었다.




○ 신혼부부ㆍ생애최초 특별공급 사각지대


1. (1인 가구) 현행 생애최초 특별공급은 주택
소유 이력이 없고, 5년 이상 소득세를 납부했
으며, 소득이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의 최대 160% 이하인 자에게 공급한다.

그러나 중이거나, 유자녀 가구로 자격을
한정하고 있어 1인 가구는 주택구입 경험이
없음에도 생애최초 특별공급 신청이 불가능
했다.



기대효과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이번 특별공급 개편으
로 그간 청약시장에서 소외되어 기축 매매시장
으로 쏠렸던 청년층 등의 수요를 신규 청약
으로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면서,
즉시 관련규정 개정에 착수해, 11월 이후 확
대 도입될 민영주택 사전청약 부터 적용하여
청년층 등의 청약기회를 확대해 나가겠다 라
고 밝혔다.






반응형

댓글